Network(1)
네트워크는 “net + work”의 합성어로,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네트워크가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개념은 네트워크 장비, 프로토콜 등 방대한 양의 지식을 포함하므로, 이를 여러 차례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Internet, Ethernet
-
Internet : 우리가 항상 접하는 인터넷은 망과 망 사이의 통신으로, 수많은 LAN, MAN, WAN등이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
Ethernet : 802 통신 규격들 중 하나로, 802.3을 말한다. CSMA/CD 방식이고, 케이블(랜선)에 관한 규격들을 정해놓았다.
Topology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설계 방법(물리적인 설계 방법)을 말한다. 망형, 성형, 트리형, 버스형, 링형, 하이브리드형이 있습니다.
-
망형(Mesh) : 모든 장치들이 점대점으로 연결되어있다.
-
성형(Star) : 각각의 장치들이 중앙 시스템(허브)에 점대점으로 연결되어있다.
-
트리형(Tree) : 허브만 있다면 많은 네트워크를 한 번에 쉽게 연결할 수 있으나, 특정 장치가 고장 나면 해당 계층 이하의 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
버스형(Bus) : 모든 장치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다. 회선의 양 끝에 단말(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삭제가 용이하지만, 통신 회선이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
링형(Ring) : 링 형태. 장단점이 버스형과 유사하다.
-
하이브리드형(Hybird) : 두 가지 이상의 토폴로지가 혼합되어 있는 네트워크 형태이다.
IEEE 802
IEEE 802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과 표준을 정의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표준 규격 모음입니다. 이러한 표준은 다양한 제조업체와 개발자들이 호환성을 유지하고 효과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
-
IEEE 802.1 : LAN 및 MAN의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VLAN(Virtual LAN) 기능,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QoS(Quality of Service) 등을 포함합니다.
-
IEEE 802.3: 유선 LAN에서 사용되는 이더넷(Ethernet) 기술에 대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다룹니다. (예: 10 Mbps 이더넷, 100 Mbps 이더넷, 1 Gbps 이더넷 등)
-
IEEE 802.11: 무선 LAN(WLAN)에서 사용되는 Wi-Fi 기술에 대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다양한 무선 주파수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규격을 제공합니다. (예: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802.11ax 등)
-
IEEE 802.15: PAN(Personal Area Network)과 같이 짧은 거리에서 작동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기술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IEEE 802.16: 무선 MAN(WMAN) 기술을 정의합니다. 이를 WiMAX라고도 합니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IEEE 802.22: 무선 Regional Area Network(RAN) 기술을 정의합니다. 주로 농촌 지역 등에 사용되는 화이트스페이스 기술이 여기에 해당됩니다.